티스토리 뷰

전기.소방.건축

[스크랩] 밸브종류와 분류

행복한 영근 2014. 4. 22. 10:42

 

 

밸브

관로(管路)의 도중이나 용기에 설치하여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장치로
제어란 뜻은 유체에서 물리적으로 표현되는 압력, 온도 및 유량을
조정한다는 것이다. 목적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한 데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밸브는 게이트밸브, 글로브밸브, 체크밸브, 버터플라이밸브, 플러그밸브, 볼밸브, 안전밸브 등이며 콕도 밸브의 일종이다. 밸브의 형식·치수는 규격에 규정되어 있다.



모든제품은바로구매가 능

카드결재 가상계좌

서울 경기지역퀵배송가능

대량물량 견적납품가능

신속한 배송을 위한 물류

모든제품 부가세포함가



볼밸브

볼 밸브는 90도 회전밸브로서 매우 양호한 기밀유지 특성을 갖고 있다. 볼을 감싸고 있는 시트는 기밀을 확실하게 하고 또한 비교적 적은 운전토크를 갖는다. 아울러 볼의 유로형상이 원형으로 밸브 입출구의 형상(원형)과 같은 모양이기 때문에 유로저항도 매우적

 



게이트밸브

개폐용(ON-OFF제어) 밸브의 대표적 밸브이다. 게이트라는 디스크가 시트면과 마찰하면서 열리거나 닫힘으로써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데, 제어의 주목적은 유로의 차단과 개방이다. 최적의 설치조건은 수평 배관 상에 스템이 수직으로 설치되어야 운전성 및 구조적 건전성이 높아진다.



글로브밸브

글로브 밸브는 유로의 차단 또는 유량의 조절용으로 사용되며, 유량제어의 목적으로 현재 가장 많이 채택하고 있는 밸브형식이다. 일반적으로 차단용 밸브를 선정함에 있어 주요 선정 포인트는 밸브에서의 압력손실이 어느 정도인가를 최우선으로 고려한다



앵글밸브

스톱밸브의 일종으로 유체의 흐름을 직각방향으로 바꾸는 밸브
고압 보일러용과 일반가정용등으로 구분되며 개폐가 신속하고 밸브 본체와 밸브의 시트와 밀착이 용이하다



버터플라이밸브

원판 중심선을 축으로 원판이 회전함에 따라 개페가 이루어지는 밸브이다 개폐 작용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므로 작동이 빠르고 저압이나 고압의 물이나 스팀 공기 가스용으로도 사용된다



체크밸브

유체를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흐르지 못하도록 하는 밸브로 급수배관 또는 배수펌프역류 방지 냉매배관등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스윙형과 리프트형 판형등 다양한 제품이 출시된다



감압밸브

압력이 높은 일차측 유체를 유량의 변동관 상관없이 이차측 유체압력을 1차측보다 낮은 일정한 압력으로 감압할 수 있는 자동 조절밸브를 말한다
소형 가정용과 대형 산업용으로 분류된다

 



안전밸브

보일러와 압력이 작용하는 용기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안전장치 중 하나. 압력이 규정 이상으로 오르면 저절로 밸브가 열려 초과 증기를 밖으로 빼내는 장치.
산업안전공단 승인제품사용



정수위밸브

수수조(물탱크) 등으로의 인입관에서 사용하는 밸브로 탱크의 수위를 감지하여 전자밸브로 개페하는 전자식과 볼탑식등으로 구분된다 탱크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유량조절밸브



스팀트랩

증기배관내에 스팀이 응축하며 뱔생하는 응축수를 제거하기위하여 개발된 제품으로 증기는 배출되지 않으며 응축수만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장치가 스팀트랩이다



에어벤트

배관내에 발생하는 공기를 자동으로 대기밖으로 배출시키는 장치로 물은 배출하지 않으며 공기만 배출한다 배관내의 에어포켓이 예상되는 지점에 설치한다



사이트글라스

배관내 유체의 흐름을 육안으로 확인할수 있도록 투명관을 사용하여 제작된 장치로 연결방법에 따라 다양한 제품으로 출시된다



스트레이나

원통 위가 금속망으로 되어 있는 여과기를 말한다. 배관 속에 설치하고 모래, 녹, 금속 쓰레기 등이 각 기구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기능성밸브

온도조절밸브 믹싱밸브 유량조절밸브 정유량밸브 차압유량조절밸브

 

 


 

 

 

출처 : DUX 둑스
글쓴이 : 변화 원글보기
메모 :

'전기.소방.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험물성상 강의  (0) 2015.01.05
p형 발신기 결선도  (0) 2014.12.10
주울열과 전선의 굵기  (0) 2013.01.17
2013소방시설관리사 시험  (0) 2012.12.15
증폭기 설명  (0) 2012.09.07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